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esponse
- ForignKey
- Database
- unity 오브젝트
- unity 간단 설정
- C#
- 데이터베이스
- unity 레이아웃
- 타입 변수 표기법
- 평면좌표상에서 두점 거리 구하기
- Create
- 요청
- http
- request
- 타입이 서로 다른 두 데이터 제네릭
- JDBC
- select
- static을 왜사용할까?
- java
- c#상속
- MariaDB
- spring
- DROP
- 메소드 정의
- 메소드 지정자
- WriteLine
- @ Builder
- final
- static
- db
- Today
- Total
목록spring (7)
이론을 싫어!

redirect 은 무엇인가? redirect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할 주소를 응답결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말을 좀 풀어서 설명을 하자면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들어왔는데 302로 Location과 함께 즉 response 헤더로 응답이 간다. (1번) 참고로 302 응답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헤더에 주어진 URL 에 일시적으로 이동되었다고 알려주는 redirect 상태 응답 코드이다. 302 응답 코드로 response을 보내면 response 헤더에 있는 Location 주소로 Request 하게 된다. (2번) 여기서 자동으로 보내게 되는데 클라이언트에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Request 객체를 만들어서 다시 보낸다. (3번) 그리고 난뒤 response..
@GetMapping 과 @PostMapping 은 Get 방식으로 요청이 오는지 아니면 Post방식으로 요청이 오는지에 따라서 정해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Controller public class Register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register/add" , RequestMethod.GET) 아래 @GetMapping와 같다. @GetMapping("/register/add") public String register(){ return "registerForm"; } // @RequestMapping(value="/register/add" , RequestMethod.PO..

HTTP 란 무엇일까? HTTP 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이며 Hyper Text -> html 를 의미하고 Transfer -> 전송을 말한다. 그리고 Protocol은 서로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약속 또는 규칙이라고 한다. 즉, 텍스트 또는 html 의 기반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그리고 HTTP는 상태를 유지 하지 않는다고 한다. (stateless) 무슨 말이냐면 , 예를 들어서 맨처음에 클라이언트 쪽에서 요청이 한번 들어왔고 다시 똑같은 클라이언트에서 한번더 요청이 들어와도 같은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왔다는 것을 모른다는 것이다. HTTP의 메소드 -GET, POST GET - 서버의 리소스를 가져오기 위해 설계 (Read 을 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web server 는 우리가 "웹을 서비스 한다" 라고 표현을 한다. 그러면 Web Application server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한다?" 라고 표현을 하면 조금 이상하다. 그래서 조금 짤라서 해석을 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한다는 무엇일까? "프로그램을 서비스 한다" 라는 표현을 한다. 좀더 올바른 표현은 클라이언트에서 프로그램을 사용할수 있게 해준다 는 뜻이다. 즉 ,서버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프로그램을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것을 WAS(Web Application Server) 라고 한다. 우리가 보통 Tomcat 또한 WAS 이다. WAS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옛날에는 각각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했다고 한다. 여기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

(예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TwoDice { @RequestMapping("/rolldice") public void main(HttpSe..

요번에는 요청과 응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요청은 영어로 Request 라고 하고 , 응답은 Response 라고 합니다. 기본기이지만 저는 요번에 HTTP 요청과 응답을 배울때 요청과 응답의 영어만 알고있어도 대략 50% 정도는 이해했다고 볼수 있었는데요. 먼저 예제 소스부터 보면 (예제1) (년월일을 입력하면 요일을 알려주는 프로그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package com.sdg99018.ch2; import java.io.IOExcept..

우리가 원격이라는 말은 온라인 상(인터넷 상)에서 다수의 공급자가 서비스나 용역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즉, 결국 쉽게 말하면 내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접근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pring에서 원격프로그램을 실행을 할려고 하면 2가지의 규칙이 존재한다. 1. 프로그램 등록 2. URL과 프로그램 연결 이다. 먼저 1. 프로그램 등록은 @Controller 의 어노테이션을 쓴다. 그러면 Controller은 무엇인가?? Controller은 보통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난뒤에 데이터나 객체를 뷰와 함께 넘겨주는 역할을한다. 예를 들어 햄버거 가게에 고객이 주문을 하게 되면 그 주문을 받고 다 만든 햄버거를 주는 역할이 Controller의 역할이다. Controller은 햄버거를 만들어 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