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타입 변수 표기법
- final
- 데이터베이스
- ForignKey
- JDBC
- c#상속
- 메소드 정의
- static을 왜사용할까?
- request
- response
- @ Builder
- DROP
- WriteLine
- 메소드 지정자
- Database
- select
- spring
- Create
- 타입이 서로 다른 두 데이터 제네릭
- C#
- 평면좌표상에서 두점 거리 구하기
- 요청
- static
- MariaDB
- unity 간단 설정
- unity 레이아웃
- db
- java
- http
- unity 오브젝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
이론을 싫어!

일단 UPDATE의 기본 SQL 문법은 1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1=값1, 컬럼2=값2,...; cs 이다. 실습을 통해서 한번 배워보도록 하자. 기존에 login_member 테이블을 조회하게 되면 위의 사진 처럼 결과가 나온다. 여기서 marketing_yn 컬럼을 UPDATE 할 예정이다. (툴마다 true,false 또는 0,1로 표시가 된다고 한다) 지금은 marketing_yn의 데이터에 1 즉, true가 들어가 있다. 1 UPDATE login_member set marketing_yn = false; cs 바로 위의 SQL문을 실행을 시킨후 ERROR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login_member 테이블을 조회하게 된다면 meketing_yn 에 1이 0으로 즉, true 에서 f..

위의 사진 처럼 login_member 테이블에 테이터라고 가정하자. SQL문 1 SELECT * from login_member; cs SQL문을 좀 해석 하자면 SELECT -> 조회할게요 * --> 전부 다 from -> 어디에 login_member -> login_member의 테이블 즉, 한마디로 정리하면 "login_member의 테이블의 데이터를 전부다 조회할게요" 라고 해석할수 있다. SQL문 처럼 실행을 하게 되면 login_member테이블의 데이터를 전부 조회하는 것인데 인기 있는 쇼핑몰이나 인기있는 게임사이트의 고객 유저의 정보 중에 특정 정보를 조회하고 싶은데 전부 다 조회를 하게 된다면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리게 될 것이다. 만약에 SQL문 2 1 SELECT * from lo..

SQL문 1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인스턴스명}; cs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전 데이터베이스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실습) 맨 처음에 내 데이터베이스를 확인 하기 위해서 1 show databases; cs SQL문을 실행해서 확인한다. (1번) 확인을 한 후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create문법을 사용한다. 그 다음 생성하고 싶은 장소를 적은 다음 원하는 닉네임을 적는다. 1 create database db1; cs 위의 sql문을 좀 해석을 해보자면 create -> 생성할게요 database -> database 라는 곳에 db1 -> db1이라는 이름으로 이렇게 해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에 성공이 되면 위에 사진처럼 Query OK, 1 ro..

DataBase 생성 후 안에 테이블을 만들었다면 이제 데이터를 한번 넣어볼 차례이다. SQL 문법 1 INSERT INTO 테이블명(컬럼1,컬럼2,...) VALUES(값1,값2,...); cs 예시) (! 혹시나 테이블을 만들지 않았다면 처음부터 같이 해보죠!! ) (1번) SQL문을 실행을 시키게 되면 login_member 테이블안에는 name email phone_number password marketing_yn register_date 생성이 된다. 그다음 INSERT문법을 사용을 해서 실제로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를 한다. (2번) 2번의 사진 처럼 실행 후 ERROR가 뜨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들어가게 된다. (보통 ERROR는 컬럼명이 다르다든지, 들어가는 데이터 타입이 다른것이..
데이터 삭제 SQL문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여기서 update문과 동일하게 조건이 있어야 한다. 특히나 데이터를 지운다는 의미는 굉장히 위험한 일이고 특정 데이터를 지우기 위해서 DELETE를 쓰는데 조건이 없다면 모든 데이터들이 삭제될수도 있기 떄문에 UPDATE문과 DELETE문은 무조건(필수) 조건을 써야한다. 예시) login_member의 테이블에 위의 사진 처럼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을하면 1번사진 위의 1번 사진처럼 DELETE SQL문을 사용하게 되면 login_member 테이블의 데이터가 전부 사라지게 된다. (조심 또 조심!!) 2번 사진 2번 사진처럼 지울 로우 데이터의 조건을 걸어서 지워줘야한다. 실행 후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지워졌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se..

redirect 은 무엇인가? redirect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할 주소를 응답결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말을 좀 풀어서 설명을 하자면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들어왔는데 302로 Location과 함께 즉 response 헤더로 응답이 간다. (1번) 참고로 302 응답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헤더에 주어진 URL 에 일시적으로 이동되었다고 알려주는 redirect 상태 응답 코드이다. 302 응답 코드로 response을 보내면 response 헤더에 있는 Location 주소로 Request 하게 된다. (2번) 여기서 자동으로 보내게 되는데 클라이언트에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Request 객체를 만들어서 다시 보낸다. (3번) 그리고 난뒤 response..
@GetMapping 과 @PostMapping 은 Get 방식으로 요청이 오는지 아니면 Post방식으로 요청이 오는지에 따라서 정해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Controller public class RegisterController{ // @RequestMapping(value="/register/add" , RequestMethod.GET) 아래 @GetMapping와 같다. @GetMapping("/register/add") public String register(){ return "registerForm"; } // @RequestMapping(value="/register/add" , RequestMethod.PO..

HTTP 란 무엇일까? HTTP 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이며 Hyper Text -> html 를 의미하고 Transfer -> 전송을 말한다. 그리고 Protocol은 서로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약속 또는 규칙이라고 한다. 즉, 텍스트 또는 html 의 기반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그리고 HTTP는 상태를 유지 하지 않는다고 한다. (stateless) 무슨 말이냐면 , 예를 들어서 맨처음에 클라이언트 쪽에서 요청이 한번 들어왔고 다시 똑같은 클라이언트에서 한번더 요청이 들어와도 같은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왔다는 것을 모른다는 것이다. HTTP의 메소드 -GET, POST GET - 서버의 리소스를 가져오기 위해 설계 (Read 을 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web server 는 우리가 "웹을 서비스 한다" 라고 표현을 한다. 그러면 Web Application server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한다?" 라고 표현을 하면 조금 이상하다. 그래서 조금 짤라서 해석을 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한다는 무엇일까? "프로그램을 서비스 한다" 라는 표현을 한다. 좀더 올바른 표현은 클라이언트에서 프로그램을 사용할수 있게 해준다 는 뜻이다. 즉 ,서버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프로그램을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것을 WAS(Web Application Server) 라고 한다. 우리가 보통 Tomcat 또한 WAS 이다. WAS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옛날에는 각각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했다고 한다. 여기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

(예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TwoDice { @RequestMapping("/rolldice") public void main(HttpSe..